No.1

[주간 송대리_001] 우리의 월급은 솜사탕인가 : 고차원적인 근로소득을 향해

송대리.2 2025. 4. 16. 10:00
728x90

 

이 글을 쓰고 있는 부족한 나도, 읽고 있는 같은 처지의 당신도,
우리 함께 한강뷰는 아닐지라도 돈의 무게에서 벗어나길 바라며.


돈. 

잠에서 깨고 다시 잠들기 까지 인간의 모든 시간과 생활엔 이 돈이 필요한데,
나처럼(어쩌면 당신도) 평범한 사람들은 항상 이 돈이 없거나 부족하다.

 

존재하지 않는 돈을 만들어 내는 건 불법적인 방법 외엔 없으니,
이미 돈을 가지고 있는 누군가에게 받아야만 하고,
그들에게 없거나 부족하지만 우리에겐 넘치도록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제공해 교환가치를 인정받으면,
그것을 환산해 대가로 돈을 받게 된다.

이것을 육체노동이라 말하는, 돈을 번다는 1차원적인 근로소득의 개념이다.

하지만 우리가 버는 돈은 솜사탕인건가.

받는 순간 달달한 건 둘째치고 어떻게 이렇게 순식간에 없어지는 건지. 

교통비, 통신비, 월세와 공과금에, 식대부터 보험료까지. 

애인과 친구가 1명도 없더라도 월급 통장의 잔고는 금세 바닥이고,
한 달에 100만원을 모으기가 이렇게 어려운 일 일 줄이야.

 

728x90
​SNS는 "셀럽 눈팅 서비스"의 약자인건가

 

출처 : 조선비즈


SNS를 켜면 소위 셀럽이 아닌 일반인들 마저 집도 차도 악세사리도 심지어 여행과 여행지에서의 씀씀이도,
내 월급으로는 욕심낼 수 없는 부럽기만 한 생활을 과시하는데,
그들과 나의 빈부격차를 이해하기엔 "욜로"라거나 "금수저"라거나 그것도 아니면 "불법적인 일"로 돈을 벌지 않고서야,
한두번도 아니고 매번 저런 삶을 영위하긴 힘들거라는 생각으로 위안을 할 뿐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그들은 월급을 받으면 저축은 하지않고 탕진하듯 과소비를 하는 걸까,
혹은 이미 많은 돈을 가지고 태어나 돈 걱정 없는 소위 금수저인 사람들인 걸까. 

노동력과 시간을 제공해 돈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1차원적인 소득이라고 말했다. 

핸드폰 게임도 3차원인 세상에, 1차원적인 방법으로만 돈을 버는 건 문제가 있다. 

하지만 그 1차원적인 방법밖에 모르는게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의 특징으로,
나도 그렇고 이 글을 진지하게 읽고 있을 당신도 그럴 것이다. 

2차원, 3차원적으로 돈을 버는 방법을 알면 육체노동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

이 글은 나 역시도 1차원적인 방법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음을 깨닫고,
지긋지긋한 육체노동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에서 쓰기 시작하게 됐다. 

 

 

나로 말할 것 같으면, 평범한 30대 남자다

 

출처 : Youtube_ALL THE K-POP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인서울 4년제 대학이 아닌 성적에 맞춰 전문대를 졸업했고,
유학, 외국어, 공모전, 대기업 등의 스펙도 뛰어날게 없어 4교대 보안업에 재직중이며,
결원으로 인한 대타 등의 추가근무 없는 연봉은 명절 보너스를 포함해야 세후 4천만원 수준의,
20~60세까지의 경제생활 인구분포도 상 근로소득 중위에 있는 평범한 30대 중반의 남자다. 

나보다 넓은 집, 외제차, 명품시계 등을 보유한 사람들이 부럽진 않지만,
스스로의 월수입이나 통장에 쌓이는 예적금의 속도를 볼 때마다 항상 불만족스럽다. 

그래서 알고 싶어졌다. 

어떻게 해야 1차원적인 육체노동을 벗어나 고차원적인 소득을 만들 수 있을까. 

욜로의 생활도, 과소비적인 생활을 바라는 것도 아닌,
그저 돈의 압박에서 벗어나 월급날만을 기다리는 삶에서 탈피하고 싶을 뿐이다.

이 글을 읽게 될 당신과 함께 이뤄갈 목표라고 생각하고,
부족한 만큼 공부를 병행하며, 서툴지만 글을 다듬어가며 긴 여정을 시작해보려 한다.

728x90